Network File System
-Host끼리의 Network 에서 각 Host의 File System을
하나의 Host에서 관리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파일 시스템.
-윈도우에서 NFS에 에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형태에 대한 서비스로 디렉토리, 파일공유가 있다.
-NFS는 지정된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File을 관리하는 환경. 이때 사용되는 NFS는 UNIX기반의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저장, 관리, 디렉토리를 공유한다. 따라서 UNIX기반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NFS의 장점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을 하나의 장치에서 사용 할 수 있다.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로그인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장치에서 자원을 사용 가능하다.(서비스방식)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별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므로 금전적인 부분을 해결가능하다.
※ NFS의 단점
-동일한 File System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NFS는 파일을 전송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연결지향의 세션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제약을 받는다. LAN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공한다.
-NFS는 파일 HOST중심으로 연결되어있어 HOST가 살아있을때만 이용가능.(Service Process의 연계로 해결가능)
◎ NFS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 NFS는 서비스를 공유하는방식이므로 Server Process가 아니라 Service Process로 구분한다.
[root@localhost ~]# ls /etc/init.d/nfs
- nfs프로그램동작의 스크립트파일
[root@localhost ~]# ls /etc/exports
-nfs에서 제공하는 디렉토리에 대한설정을 제공하는 설정파일
◎ NFS의 설정방법
-NFS를 통하여 제공해주는 디렉토리 생성.
mkdir /Share
vi /etc/exports // 설정사항 작성
[참고]
NFS는 기존의 서버의 설정사항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디렉토리의 설정으로 제공
설정파일에는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디렉토리를 NFS를 통하여 공유하는 방식의 정보로 설정한다.
경로/디렉토리명 공유대상 주소(사용방식)
/Share 172.16.111.12 (sync,rw)
serv1##
mkdir /Share
vi /etc/exports //내용이 기입해준다.
/Share 172.16.111.12(sync,rw)
wq
service nfs restart
exportfs -v // 확인하는 방법.
serv2##
showmount -e 172.16.111.11
mount -t nfs 172.16.111.11:/Share /mnt
cd /mnt
serv1##
touch testfile.txt
chmod -R 777 .
//권한을 다 줘 보아도
2번에서 touch testfile1.txt
해도 파일의 소유권은 nfsnobody가 되어서 사용할 수 없다.
vi /etc/exports //내용이 기입해준다.
/Share 172.16.111.12(sync,rw,no_root_squash)
wq
exportfs -r //리스타트 대신에 이렇게 해야 연결에 좋다.
exportfs -v
이제 serv2에서 파일을 만들면 root:root 권한이 주어진다.
==auto mount 사용할 때만 마운트한다.
'개인 공부방 > LINUX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own (0) | 2016.04.07 |
---|---|
SSH (0) | 2016.04.06 |
DB1, mysql (0) | 2016.04.06 |
proftpd.conf 설정, limit 사용, ftp limit의 특정한 범위 지정 (0) | 2016.04.06 |
DNS 사용자 계정 생성 2 (0) | 2016.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