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공부방/LINUX 기본

VNC, tight vnc




tightvnc-2.0.3-setup.exe




원격컴퓨터의 Desktop(GUI)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
-여기서는 GUI(Gnome)
 
Linux(sys/net)Service
 
 
 
VNC의 구성이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직접(local)제어하는 방식엔
비용,시간,공간의 요건에 제약을 받으므로
원거리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
 
 
 
Server의 구성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
 
1. Server, Client의 연결
 
2. Server가 Client에게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동작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프로그램 존재 유무 확인
 - 개발자에 의해 프로그램의 동작요소 결정
 -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에 관련되게 수정
 
3. 이조건들이 제대로 제공되는지 확인
 
 
 
VNC의 동작프로그램 종류
Server : vnc-server
Client : vnc-client
 
**원격제어 컴퓨터의 대표컴퓨터에 설치
[root@serv1 ~]# yum -y install vnc-server
rpm -qa vnc-server
 
 
/etc/rc.d/init.d/vncserver        //데몬standalon들어가있는 폴더
/etc/sysconfig/vncservers       //설정파일
 
vi /etc/sysconfig/vncservers
 
수정(1, username을 root)
 
/etc/rc.d/init.d/vncserver start         //실행
root에서
mkdir ~/.vnc
 
vncpasswd
 
/etc/rc.d/init.d/vncserver restart
 
tightvnc //vnc뷰어설치
 
 
cat /etc/services | grep vnc         //포트확인 2654
netstat -atpn | grep vnc        //포트 5901
 
연결하려는 컴퓨터에서
 
5901
ip
vnc
를 nat프로토콜 추가
 
//윈도방화벽도 예외
 
TightVNC에서
접속하려는 서버의 (윈도우)ip주소를
쓰고
IP주소:1    // :1은 창모드
--connect
 
cd .vnc
ls xstartup
vi xstartup
 
exec ~  //3번째줄 주석처리 해제
 
service vncserver restart 
 
//이후 다시 tightVNC실행
 
 
 
--------x윈도 모드에서
vi /etc/hosts 에서
serv2, 3,4 추가
 
그러면 ip주소 쓰는대신에 telnet serv2 로 접속가능
 
이것은 window의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와 같은 형식
hosts파일에 ip주소 gooday.com
이렇게 쓰면
접속시 gooday.com으로 접속가능!

'개인 공부방 > LINUX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설치  (0) 2016.04.06
RPM, YUM 공통점, 차이점  (0) 2016.04.06
도메인 네임 설정  (0) 2016.04.06
telnet editor TELNET 설정  (0) 2016.04.06
DAEMON (telnet)  (0) 201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