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공부방/LINUX 기본

DNS 설치



echo nameserver 8.8.8.8 > /etc/resolv.conf



Address-대상을 구분하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정보를 제공
 
 
IPAddress-
    HostID :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
    NetworkID : 대상이 연결된 하나의 지점을 구분하기위한 번호
 
 
Domain
- 통신에 필요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것으로 기계적인것이 아닌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요소로 제공하기 위한 이름
Hostname : 대상의 고유한 번호를 이름으로 구성한 형태
Networkname : 그룹의 고유한 번호를 이름으로 구성한 형태
 
Domain = NetworkName + HostName
 
* Domain은 지정된 규칙에 따른 주소를 사용하기위해 정보를 지정해야 한다.
 
 
통신에 관련된 규칙에 대한 이름을 지정한 방식
 
1. 이름과 주소를 저장하는 방식
-> /etc/hosts 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름과 주소를 맵핑
ex)8,90년대의 전화번호부책
* 초창기 통신에 사용된방식으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의 관리 분배방식. 정보가 커지면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므로 하나의 매체에서 관리한다.
ex)전화번호부 -> 114
     HOSTS      -> DNS
 
2. 각각의 대상의 이름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과 주소를 가지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server)
 
DNS의 역할을 제공하기 위한 Package확인
 bind확인
DNS 동작을 위한 구성사항
1. bind                         : 데몬의 패키지
2. bind-libs                  : 데몬의 동작방식을제공하는 패키지
3. bind-utils                 : 동작을 제공받기위한 패키지
4. catching-nameserver : 동작을 제공하기위한 설정사항 패키지
 
구성사항 패키지 설치
yum -y install bind
*bind-libs, bind-utils의 2개 패키지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bind의 구성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확인
rpm -ql bind
 
..
 
/etc/named.conf - bind의 설정사항을 제공하는 설정파일
/etc/rc.d/initd/named - bind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하는 스크립트 파일
/etc/local/named - bind의 동작을 제공하는 실행파일
 
참고-dns의 동작은 저장되는 정보를 가지고 동작
/etc/named.conf 를 확인하게 되고
이때 가지는 설정파일은
/etc/named.conf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기본적인 설정사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설정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치
 
[참고]
yum -y install caching-nameserver
rpm-ql caching-nameserver
/etc/named.conf -bind의 dns설정파일(caching-nameserver와 rfc1912와 같은 부분이라 제공하지 않는다.(bind9.x이후버전))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 bind의 dns설정파일
/etc/named.rfc1912.zones  - 이름에 대한 정보를 맵핑
/var/named     - 이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위해 파일저장
/var/named/-.zone   - 저장파일
 
 
 
## nameserver를 수정한다.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listen on port 53을 any로 수정!
listen on v6 port 줄을 주석처리
 
query source port 53:을 주석해제
allow query { any };로 바꿈
allow query-cache { any };로 바꿈
 
match - clients
 destinations 도 any로 바꿈
 
vi /etc/named.rfc1912~
 
 
zone "gooday.com" IN{
 
~
file"gooday.com.zone";
}
//이것을 새로 추가
 
 
 
 
cd /var/named
cp localhost.zone gooday.com.zone
vi gooday.com.zone
 
여기서 NS는 name server
A는 주소
AAAA는 ipv6
 
2째줄 @를 gooday.com.      //.을씀!
NS 를 gooday.com.
IN A를 172.16.~(server1 ip)
 
server1 In A
SErver2 ~
 
 
service named restart
 
vi /etc/resolv.conf            //분해자 컨픽
nameserver 자기ip
 
chown .named gooday.com.zone     //권한주고
nslookup server1.gooday.com

'개인 공부방 > LINUX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사용자 계정 생성  (0) 2016.04.06
named 동작원리  (0) 2016.04.06
RPM, YUM 공통점, 차이점  (0) 2016.04.06
VNC, tight vnc  (0) 2016.04.06
도메인 네임 설정  (0) 201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