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공부방/LINUX 기본

named 동작원리

1. Client가 이름에 관련된 주소를 요청한다.
 1) 동작되는 프로그램에 주소를 입력
 2) 자신이 가지는 주소에 대한 정보가 있는지 확인
    /etc/hosts
 3) 자신이 가지는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름의 주소를 참고하는 대상을 확인한다.
   /etc/resolv.conf에 등록된 nameserver의 주소를 따른다.
 4) 위와 같은 2,3번에 해당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도메인에 따른  주소를 분해한다.
 
2. Client가 요청한 이름에 대한 정보를 서버가 제공받는다.
  1) 요청된 이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몬을 확인
  Package bind 확인
  2) 요청된 정보에 따른 데몬이 실행된 상태를 포트정보를 통해 확 인
  -데몬이 실행된 상태가 아니라면 요청된 정보거부
  -데몬이 실행된 상태라면 요청된 정보를 자신의 정보와 비교
 
3. Server가 Client의 요청된 정보를 분석
  1) 요청된 정보를 서버가 분석할 수 있는 정보로 확인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에 관련된 설정사항을 확인한다.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2) 동작된 설정사항에 따른 이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대상의 파일을 비교분석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확인
  /etc/named.rfc1912.zones
  3) 요청된 정보를 위와같은 설정파일에 따른 정보로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에 지정된 영역의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etc/named.rfc1912.zones에 지정된 정보를 가지는 파일을 찾아 확인한다.
  4) 요청된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파일에서 요청한 정보를 확인하고 Server는 Client에게 도메인에 따른 IP주소를 반환
 
4. Client는 Server에서 제공된 이름에 대한 제공된 IP주소를 가져와 사용한다.
 
ㅇㅇ
 
 
NAT에서
DNS설정
53번, serverip
 
 
서버에서
 
cmd
nslookup
server 자기ip

'개인 공부방 > LINUX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사용자 계정 생성 2  (0) 2016.04.06
DNS사용자 계정 생성  (0) 2016.04.06
DNS 설치  (0) 2016.04.06
RPM, YUM 공통점, 차이점  (0) 2016.04.06
VNC, tight vnc  (0) 201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