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에 필요한 관리자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DNS의 정보를 보관하는 형태는 /var/named에서 제공하는데 이때 해당하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이 named이다. 하지만 생성되는 계정의 UID,GID는 named가 아닌 dnsmaster가 되므로 해당하는 권한과 맞추어 주어야 한다.
useradd -d /DNS -G named dnsmaster
ls /DNS -al
id dnsmaster
cd /var/named/dns
chown -R dnsmaster /var/named
ln -s /var/named dns
ls dnsconf/
ls dnsconf/ -Rl
cp -a dns/localhost.zone dnsconf/skel/.dns
mv dns/rfc1912.default.zones dnsconf
'개인 공부방 > LINUX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1, mysql (0) | 2016.04.06 |
---|---|
proftpd.conf 설정, limit 사용, ftp limit의 특정한 범위 지정 (0) | 2016.04.06 |
DNS사용자 계정 생성 (0) | 2016.04.06 |
named 동작원리 (0) | 2016.04.06 |
DNS 설치 (0) | 2016.04.06 |